커패시터가 DC는 차단하고 AC는 통과시키는 이유 (AC coupling, DC coupling, Decoupling, Bypass)
커패시터커패시터(또는 콘덴서)는 두 개의 금속판(도체) 사이에 절연체(유전체)를 끼워 만든 구조의 수동 소자이다. 전기 에너지를 정전기장 형태로 저장하며, 회로 내 전압 변화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커패시터의 전하 저장 능력(정전용량, Capacitance) 패럿(Farad, F)을 단위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는 μF, nF 등의 단위가 사용된다. 1. DC 전압이 걸렸을 때DC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커패시터에 DC 전압이 걸리면, 초기에는 전위차에 의해 양쪽 도체판에 서로 반대 극성의 전하가 축적되며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일시적으로 전류가 흐르지만, 충전이 완료되어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전원 전압과 같아지면 전위..
2025.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