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SP, MCU/펌웨어

Ethernet 물리 계층의 표준

by eteo 2024. 1. 8.

 

 

 

IEEE에서 정의하는 주요 Ethernet 물리계층의 전송속도별 구분

 

 

 

Ethernet (10BASE-T) : IEEE 802.3에서 정의된 최초의 Ethernet 표준으로 10 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4가닥의 UTP (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하며, 최대 케이블 길이는 100 미터이다. 

 

Fast Ethernet (100BASE-T) : IEEE 802.3u에서 정의된 표준으로 100 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역시 4가닥의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최대 케이블 길이는 100 미터이다.

 

Gigabit Ethernet (1000BASE-T) : IEEE 802.3ab에서 정의된 표준으로 1 G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Cat 5e, Cat 6, 또는 Cat 6a의 8가닥의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최대 케이블 길이는 100 미터이다.

 

10-Gigabit Ethernet (10GBASE-T) : IEEE 802.3an에서 정의된 표준으로 10 G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Cat 6a 또는 Cat 7의 8가닥의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최대 케이블 길이는 100 미터이다.

 

 

 

✔ BASE는? 

 

baseband의 약자로 baseband란 하나의 회선으로 하나의 디지털 신호를 변조없이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을 뜻한다.

 

✔ BASE-T는?

 

BASE- 뒤에 붙는 약자는 신호를 전송하는 매체를 의미하는데 T, TX, FX, SX, LX 등이 올 수 있다. T는 Twisted pair를 의미하며 F는 Fiber optic의 약자이다. SX, LX 도 광케이블을 의미하며 각각 단거리, 장거리용 케이블임을 나타낸다.

 

 

 

 

📌 10/100BASE 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10/100BASE 라는 용어를 발견했다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10 Mbps 또는 100 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스위치, NIC 카드 등의 장치는 Auto-negotiation 기능을 지원하여 연결된 디바이스의 속도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속도를 조정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호환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10/100/1000 Ethernet 이라는 용어는 해당 장치가 10Mbps, 100Mbps, 1000Mbps(1Gbps / 기가비트)의 다양한 속도로의 전송을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DSP, MCU > 펌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번 핀 찾는 법  (0) 2024.02.24
CAN 통신의 ISO 표준  (0) 2024.01.09
ARINC 429 waveform  (0) 2024.01.01
RS-422, RS-485 Waveform  (0) 2023.11.24
RS-232 Waveform  (0)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