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SP, MCU/펌웨어

RS-232 Waveform

by eteo 2023. 11. 23.

 

 

RS-232

RS-232는 비동기 직렬통신 표준중 하나로 데이터는 클락신호 없이 전송된다. 송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다른 클락을 사용하지만 서로 동일한 Buad rate로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비트를 사용해 데이터를 정확히 송수신할 수 있다.

 

 

RS-232 Waveform 분석

 

RS-232 통신파형을 스코프로 측정하면 다음과 같다.

Single ended 신호라서 tx핀만 측정하면되고, ASCII 코드 '1'을 터미널에 입력해본다.

 

 

 

 

 

신호 레벨

 

Vmin은 -9.5V, Vmax는 +600mV 정도로 Vpp가 10.1V로 측정되었다.

출력전압사양은 마이너스 전압이 -3V~-15V 플러스 전압이 +3V~+15V 사이로 보통 ±12V를 사용한다고 알고있는데 내가 갖고있는 컨버터가 산업용이 아니다보니 그정도 스펙은 안나오는 것 같다.

 

 

 

Baud rate

터미널 Baud rate는 115200을 사용하였다.

지금 스코프 화면의 시간 축 한 칸이 10us인데, V cursor를 사용해 one bit time을 측정해 봤을 때 8.8us가 나왔다. 역수 취하면 113K bps정도이다.

 

 

 

 

데이터 해석

 

RS-232 통신에서 마이너스 전압이 Logic 1 (Mark)를 나타내며, 플러스 전압이 Logic 0 (Space)를 나타낸다.

IDLE일 때는 Logic 1이고, START bit는 Logic 0, STOP bit는 Logic 1이다.

 

 

아스키 코드로 '1'은 헥사값으로 0x31이며 바이너리로 00110001이다.

RS-232/422/485 등 표준에서는 LSB fir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0x31을 START bit 이후 10001100 순으로 전송한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