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C71

strtoul, strtol, strtof 구현 기존 C표준 라이브러리 함수와 차이가 있다면, 원래 strtoul, strtol 함수는 명시적으로 base 인자를 받는데 이를 받지 않고 자동으로 base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이는 원래 함수에서 base 인자가 0인 경우와 같은 동작을 한다.또한 원래 strtoul, strtol 함수는 2진수 접두사 "0b"를 처리하지 않는데 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그리고 원래 strtof 함수 과학적 지수 표기(e 또는 E)를 지원하나 간단한 구현 및 처리를 위해 이를 지원하지 않는 버전으로 했다. #include // 공백 문자 확인int my_isspace(char c) { return (c == ' ' || c == '\t' || c == '\n' || c == '\r' || c == '\v' || c == '.. 2025. 2. 22.
C ] X-Macro X-Macro란?  매크로 X()를 재정의하여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는 기법으로, 주로 리스트 데이터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거형 및 이에 맵핑되는 문자열 배열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사용 예시 #include // 리스트 정의#define ERROR_LIST \ X(ERROR_NONE) \ X(ERROR_INVALID) \ X(ERROR_TIMEOUT) \ X(ERROR_OVERFLOW)// enum 정의enum {#define X(name) name, ERROR_LIST#undef X ERROR_COUNT};// 문자열 배열 생성const char *ErrorNames[] = {#define X(name) #name, ERR.. 2025. 1. 30.
C] 콘솔 프로그램 플리커 현상 개선하기 (더블 버퍼링 & 오프스크린 버퍼) 콘솔 화면을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 화면이 깜빡이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런 플리커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알아보자.  먼저 대략 60fps로 7세그먼트 형식의 디지털시계를 출력하는 C언어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았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 이미지 처럼 화면이 깜빡이면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 플리커 현상의 원인은? 플리커 현상은 화면 갱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간 상태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면서 발생한다. 아래 코드를 보면 system("cls")를 사용해 화면을 완전히 지운 후, 초기화된 화면에 새로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이 과정이 빠르게 반복되면서 빈 화면과 새 데이터를 그리는 중간 상태가 짧은 시간 동안 화면에 보여지.. 2025. 1. 5.
inet_addr, inet_aton, inet_pton, inet_ntoa, inet_ntop 1. 문자열 형식의 IP 주소를 uint32_t 형식으로 변환하는 함수 :inet_addr, inet_aton, inet_pton  - inet_addr문자열 형식의 IPv4 주소를 uint32_t로 변환.반환된 값이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로 저장됨.Deprecated(더 이상 권장되지 않으며, 향후 버전에서 제거될 가능성이 있으니 사용을 자제해야하는 함수) 이므로 최신 코드에서는 inet_aton 또는 inet_pton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됨.#include #include #if defined(_WIN32) || defined(_WIN64)#pragma comment(lib,"ws2_32")#include #else#include #endifint main() { const char* ip_str = .. 2024. 12. 17.
winmm API 사용하여 WAV 파일 재생하기 winmm 은 Windows Multimedia의 약자로 해당 라이브러리의 API를 사용해 WAV 형식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include #include // mmsystem.h 포함#include // winmm.lib 링크#pragma comment(lib, "winmm.lib")int main() { // wav 파일 경로 const char* filePath = "C:\\Users\\jo\\Downloads\\warning.wav"; // wav 파일 동기식 재생 MMRESULT result = PlaySound(filePath, NULL, SND_FILENAME); if (!result) { printf("PlaySound Error\n"); return 1; } print.. 2024. 7. 4.
C POSIX ] pthread, mutex 사용법 Pthread는 모든 유닉스 계열 POSIX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라이브러리로 병렬적으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소스코드에선 #include 로 헤더를 포함하고 컴파일 시 -pthread 옵션을 붙여 컴파일 한다.   주요 thread 함수  1. pthread_create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고 지정된 함수 start_routine을 실행한다.int pthread_create(pthread_t *thread, const pthread_attr_t *attr, void *(*start_routine) (void *), void *arg); 파라미터 :pthread_t *thread: 생성된 스레드의 식별자를 저장할 포인터, 해당 식별자를 통해 이후 스레드를 제어할 .. 2024. 6. 26.
C] epoll 사용법 epoll이란?epoll은 리눅스 커널 2.5.44부터 도입된 Multiplexing IO 함수로 다수의 파일 디스크립터를 모니터링 할 때 효율적이다. epoll은 epoll_event 구조체와 다음의 세 가지 주요 함수로 구성된다.epoll_create : epoll 파일 디스크립터 저장소 생성epoll_ctl : 저장소에 파일 디스크립터 등록 및 삭제epoll_wait : 파일 디스크립터의 변화를 대기   select와의 차이점select의 경우 매번 호출할 때마다 파일 디스크립터 집합을 사용자 공간에서 커널 공간으로 복사해야 하지만 epoll는 한 번 설정한 파일 디스크립터 집합을 커널 공간에서 유지하여 불필요한 복사를 방지한다. 따라서 많은 수의 파일 디스크립터를 다룰 때 epoll이 더욱 효율적.. 2024. 6. 24.
__DATE__ 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원하는 포맷으로 출력하기 __DATE__, __TIME__ 은 ANSI/ISO 표준으로 정의되고 C 컴파일러 전처리기가 제공하는 특수한 매크로로 소스파일이 컴파일 시점의 날짜와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 리터럴이다. 보통 __TIME__ 의 경우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따로 손댈게 없다. 하지만 __DATE__ 의 경우 월, 일, 년도 순이고 월은 영문에 일은 한자리 수 인경우 앞이 공백이여서 그대로 쓰기엔 애매하다. 따라서 __DATE__를 원하는 형태의 formatted string으로 출력하기 위해 다음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 yyyy-mm-dd 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digit Character를 추출해서 조합하는 형태 #include #define BUILD_YEAR_CH0 .. 2024. 4. 17.
C언어 ] qsort (Quick Sort, 퀵정렬) 함수 사용법 C언어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qsort 함수는 퀵 정렬(Quick Sor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배열을 정렬하는 데에 사용된다. 아래는 qsort 함수의 사용법에 대한 예시이다. 1. 헤더 파일 include qsort 함수를 사용하려면 stdlib.h 헤더 파일을 포함해야 한다. #include 2. 비교 함수 작성 qsort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선 정렬을 위해 사용할 비교 함수를 만들어야 하며, 이 함수는 두 요소를 받아들여 비교한 결과를 반환해야 한다. 반환값이 음수, 0, 양수인지에 따라 정렬의 순서가 결정된다. 비교 함수의 반환값이 양수면, qsort 함수는 두 요소의 순서를 바꾼다. int compare(const void *a, const void *b) { // 비교 로직 작성 retu.. 2024. 1. 30.
윈도우 소켓 ] connect() 함수의 타임아웃은 21초 connect() 함수의 타임아웃 TCP connection은 3-way-handshake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클라이언트는 SYN 패킷을 전송한 이후 SYN+ACK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때, 서버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포트가 닫혀있는 경우 서버기기는 SYN+ACK 대신 RST 패킷을 보낼테니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할 수 없다는 걸 RTT(Round Trip Time)만에 알 수 있다. 로컬네트워크에서 이 시간은 몇 밀리초이지만 인터넷에서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서버기기가 네트워크에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응답을 받지 못한채 SYN 패킷 전송을 재시도할 것이다. 이 때 재시도 횟수와 타임아웃은 운영체제의 TCP/IP protocol stack 설정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윈도.. 2023.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