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베디드 개발/펌웨어109

Line Coding (선로 부호화) 1. Line Coding (선로 부호화)이란?Line Coding은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전송 매체에 맞춰 변환함으로써 신호 왜곡을 줄이고, 오류 검출과 복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2. Line Code의 분류2.1 Unipolar (단극형) ( A+, 0 )Unipolar 방식은 신호를 하나의 전압 레벨로 표현한다. 즉, 데이터 비트가 1일 때는 일정한 전압(+A)을 사용하고, 비트가 0일 때는 0 전압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단순하지만, DC 성분이 포함되기 쉽고, 클럭 동기화가 어렵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대표 방식 : Unipolar RZ, Unipolar NRZ    2.2 Polar (극형) ( +A, .. 2024. 10. 30.
SerDes SerDes란?   SerDes(서데스, Serializer/Deserializer)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Serialize)하고, 다시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Deserialize)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블록을 말한다. SerDes는 칩간 고속 통신에 사용되어 여러개의 병렬 라인을 고속의 하나의 직렬 라인으로 통합하여 더욱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SerDes의 기능 Serialize : 송신 측에서는 전송할 병렬 데이터를 하나의 직렬 신호로 변환한다.Deserialize : 수신 측에서는 들어온 직렬 데이터를 다시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Impedance matching : 고속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반사를 줄이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2024. 10. 20.
PCIe PCIe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먼저 PCI와 PCIe는 어떻게 다를까 1. PCI vs PCIe1.1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개념 : PCI는 1992년에 인텔이 개발한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로 CPU와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었다.동작 방식 :병렬 전송 방식 :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병렬로 동시에 전송한다.버스 아키텍처 : 여러 장치들이 동일한 버스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 번에 하나의 장치만 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버스는 제한된 대역폭(32비트 또는 64 비트 폭, 33MHz 또는 66MHz 클럭속도)을 가진다.주소 기반 메모리 접근 : CPU는 PCI장치와 직접 메모리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한다.속도 : 최대 533 MB/s의 속.. 2024. 10. 8.
ADC SNR ADC SNR (Signal to Noise Ratio)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SNR은 ADC 회로 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신호의 비율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즉, 해당 값이 클수록 설계한 ADC 시스템이 신호에 비해 잡음이 얼마나 적고, 신호를 얼마나 정확하게 전달하는지 나타낸다. 이전 글(https://eteo.tistory.com/917)에서도 설명하였는데 SNR은 신호 수준 대 노이즈 수준의 비에 상용로그를 취한 뒤 20을 곱하여 dB 스케일로 표현한다. 단, ADC SNR을 말할 때의 '노이즈'는 양자화 오류만을 고려한 값이다. SNR은 내부 회로의 잡음이나 열 잡음, 전자기 간섭이로 인한 잡음 등 추가 잡음원을 고려하지 않고 양자화 오류만을 고려한 이상적인 값으로 ADC 시스.. 2024. 9. 8.
OP Amp 연산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는 회로 설계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몇가지 기본 회로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자.      1. 버퍼 (Buffer) - 구성 :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신호를 연결하고, 출력은 반전 입력(-)으로 피드백 된다 - 특징 전압 이득이 1이라서 입력 신호가 그대로 출력으로 전달되는데,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동일한 점 때문에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라고도 부른다.버퍼 회로는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입력 신호를 다른 회로에 전달할 때 소스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압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2. 비교기 (Comparator)  -.. 2024. 9. 6.
오버슈트와 언더슈트 오버슈트 (Overshoot)오버슈트는 신호의 출력이 목표 값에 도달하기 위해 반응할 때 일시적으로 목표 값을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언더슈트 (Undershoot)언더슈트는 신호가 목표 값으로 수렴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목표 값보다 낮은 값을 기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2024. 8. 22.
멀티미터를 사용해 다이오드 테스트 하는법 디지털 멀티미터(DMM)를 사용해 다이오드의 극성을 구별하거나 고장여부를 테스트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그 전에 먼저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자.   다이오드 (Diode)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진 전자 부품으로 애노드와 캐소드라는 두 단자로 구성된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약 0.7V 이상의 전위차가 발생할 때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며,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다이오드의 극성 애노드 (Anode) : 전류가 들어오는 쪽의 단자로 기호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의 반대 부분이다.캐소드 (Cathode) : 전류가 흘러나가는 쪽의 단자로 기호에서 세로 막대기 쪽이다.   다이오드의 주요 특징 순방향 바이어스 (Forward Bias) :.. 2024. 8. 20.
함수발생기 50옴 / High-Z 설정에 관해 (함수 발생기 출력이 2배로 측정되는 이유) 함수발생기에서 출력 임피던스를 50옴으로 설정하면 계측장비에서 측정시 진폭이 2배로 측정되는 이유는? 보통 계측 장비의 입력 임피던스는 높을수록 입력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기본 설정이 1MΩ이다. 여기서 '특별한 상황'이란 수 MHz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측정할 때를 말하는데, 고주파 신호는 송신단과 수신단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신호가 반사되어 왜곡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피던스를 정확히 매칭해 신호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주로 사용하는 값이 50Ω이다. 그래서 함수 발생기의 출력 임피던스 기본 설정은 계측기와 달리 50Ω인 경우가 많다. 여기서 고려할 점은 함수 발생기와 계측 장비 모두 임피던스를 50Ω으로 설정한 경.. 2024. 8. 14.
의사난수(PRN) 생성기 (랜덤 함수 without stdlib) 1. 의사난수(Pseudo Random Number)란?컴퓨터는 본질적으로 계산기이기 때문에 특정 연산의 결과는 항상 동일하며 스스로 난수를 만들어낼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을 사용해 무작위성을 흉내내는데 이를 의사난수 생성기(PRNG)라고 한다. 의사 난수 생성기는 초기값(시드)에 의해 결정되는 수열을 생성하며 같은 시드값을 사용하면 항상 동일한 수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람이 보기에는 어느정도 난수로 보이지만 진짜 난수는 아니기에 가짜 난수라는 의미로 Pseudo Random Number라고 부른다.    2. 의사난수의 종류 2.1 중앙제곱법(Middle Square Method)중앙제곱법은 존 폰 노이만이 제안한 초창기 난수 생성 알고리즘이다. 이 방법은 숫자를 제.. 2024. 8. 8.
SMD 타입 저항 읽는법 & 사이즈 규격 저항 값 읽는 법      3 digit 혹은 4 digit 저항은 마지막 숫자가 10의 승수로 앞자리 숫자들과 곱하면 되고, 중간에 R/K/M이 오는 저항은 뒷부분이 소수점이하 자리로 생각하면 된다.     사이즈 규격  SI 단위 (mm) US 단위 (inch) 칩 사이즈 (mm) 칩 사이즈 (inch) 060302010.6 x 0.30.02 x 0.01100504021.0 x 0.50.04 x 0.02160806031.6 x 0.80.06 x 0.03201208052.0 x 1.250.08 x 0.05252010082.5 x 2.00.10 x 0.08321612063.2 x 1.60.125 x 0.06322512103.2 x 2.50.125 x 0.10451618064.5 x 1.60.18 x.. 2024.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