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도구80

Git ] stash 기능 사용하기 StashGit stash는 작업중이던 코드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이다.이 기능을 사용하면 작업 중인 변경사항을 임시로 저장해두고, 깨끗한 디렉토리 상태로 되돌린 후 나중에 필요할때 다시 변경사항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하던 작업을 잠시 중단해야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개인적으로는 A 브랜치에서 작업을 하다가 B 브랜치로 checkout을 하고 싶은데 커밋하기는 껄끄러울때 자주 사용한다. A 브랜치의 변경사항을 stash 해두고 B 브랜치로 옮겨서 필요한 일을 한 뒤에 다시 A 브랜치로 돌아와서 stash 했던 변경사항을 불러와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이 외에도 a기능과 b기능을 같이작업했는데 각 기능에 관련된 파일만 두번에 걸쳐서 따로 커밋하고 싶을 때 파일별로 일부를 s.. 2024. 2. 29.
TortoiseGit ] 두 커밋 간 비교 TortoiseGit 사용 두 커밋 간 비교 프로젝트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 TortoiseGit > Show Log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비교하려는 두 커밋을 선택하고 우클릭 > Compare revisions 2024. 1. 26.
Git ] 이전 커밋의 코드 상태 확인하기 커밋 히스토리를 변경하는게 아니라 이전 커밋의 코드 상태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다. 1. 이전 커밋으로 이동 git checkout ex) git checkout HEAD~1 # 직전 커밋 참조 위해 이동 2. 최신커밋으로 돌아오기 git checkout - 2024. 1. 18.
Git ] 이전 커밋에서 branch 생성하기 1. 이전 커밋 로그를 확인 git log --oneline 2. 현재 브랜치 확인 git branch 3. 특정 커밋으로부터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branch ex) git branch feature 9a124ef 4. 새로운 브랜치로 전환 git checkout ex. git checkout feature git checkout 명령어를 사용해 브랜치를 전환하면 해당 브랜치의 헤드로 이동하면서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들도 해당 브랜치의 최신 커밋 상태로 업데이트 된다. 위 경우에는 이전 커밋으로부터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했기 때문에 새로운 브랜치의 HEAD는 이전 커밋을 가리키게 되므로 작업 디렉토리가 해당 커밋의 상태로 변경된다. 혹은 아래 방법으로 위 두 단계를 한번에 할 수 있다. # 새로운 브.. 2024. 1. 16.
StarUML ] 텍스트 줄바꿈(new line) 하는 법 단축키 Ctrl + Shift + W 사용 또는 속성에서 Format - Word Wrap 체크 이렇게 하면 박스의 크기를 flexible하게 조절할 수 있고 텍스트의 경우 박스의 너비를 넘어가는 경우 줄바꿈 된다. 2024. 1. 7.
Visual Studio ] C4819: 현재 코드 페이지(949)에서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파일에 들어 있습니다. 한글버전 Visual Studio를 사용하다보면 아래 경고가 뜰 때가 있다. C4819: 현재 코드 페이지(949)에서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파일에 들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소스파일, 헤더파일을 만들고 한글 주석을 다는 경우 인코딩이 ANSI로 바뀐다.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면 알 수 있다. 이게 문제가 되므로 인코딩을 UTF-8로 다시 바꿔주면 된다. 해결방법 1 파일 선택 상단 메뉴의 파일 - 우클릭 - 다른이름으로 ... 파일 저장 - 인코딩하여 저장 선택 ... 파일이 이미 있습니다. 바꾸시겠습니까? 라는 문구가 뜨면 예 선택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하여 저장하면 된다. 참고. 유니코드 - 코드 페이지 1200은 UTF-16을 의미한다. 해결방법 2 이미 만들어진 파일의 경우 위의 방법으로.. 2023. 11. 25.
공유기 간의 IP 충돌문제 해결 iptime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내부 IP주소를 192.168.0.1로 사용하는데, 동일 외부망과 연결된 다른 공유기가 이미 해당 내주 IP주소를 사용중이라면 "내부 네트워크와 동일한 대역의 ip주소가 검출되었습니다"라는 오류가 뜬다. 이 경우 공유기 설정창에 들어가 고급 설정 - 내부 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 내부 IP주소를 192.168.x.1 등 다른 주소로 설정해주면 해결된다. 2023. 11. 15.
Git, TortoiseGit ] 커밋 메시지 수정하기 최근 커밋의 메시지 수정하기 1. 터미널로 하는 방법 git commit --amend -m '수정할 메시지' 2. Tortoisegit으로 하는방법 우클릭 commit을 누르고 Amend Last Commit 에 체크한 후 수정하면 된다. 이전 커밋의 메시지 수정하기 이때는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하게 더 간편한다. 먼저 git rebase 명령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git rebase는 기존 커밋 히스토리를 변경하거나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인데 git rebase -i 와 같이 -i(interactive) 옵션을 사용하면 커밋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다. 1. 먼저 $ git reflog 명령 또는 GUI 툴로 메시지를 수정하려는 커밋이 몇번째 위치해있는지 확인한다. 2. 만약 수정하려는 커밋이 .. 2023. 11. 4.
Git ] reset 옵션 차이, soft, mixed, hard git reset --soft : 커밋 기록을 지우고 인덱스(staging area)와 working directory의 파일시스템은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려면 soft 옵션을 사용한다. git reset --mixed : HEAD는 해당 commit ID를 가르키고 인덱스도 초기화되지만 working directory는 그대로 유지한다. git reset --hard :인덱스를 지우고 working directory의 추적된 모든 파일을 reset할 커밋 당시의 상태로 되돌리려면 hard 옵션을 사용한다. $ git reset --hard ebbbca3 $ ls a.txt b.txt c.txt $ git reset --soft ebbbca3 $ ls a.txt b.txt c.txt d.txt e.txt .. 2023. 10. 27.
.gitignore 자동생성 웹서비스 https://gitignore.io/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위 사이트에서 개발환경과 언어를 입력하면 .gitignore 스크립트를 자동생성해준다. 2023.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