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SP, MCU/젯슨

Nvidia Jetson Xavier NX 보드에 SDK Manager로 JetPack 설치하기

by eteo 2024. 5. 22.

 

 

기본 준비사항:

Nvidia Jetson Xavier NX 보드

19VDC 전원 어댑터

Micro B type USB

점퍼소켓 또는 F-F 점퍼선

인터넷이 되는 Host PC

 

 

JetPack이란?

Jetson 보드에 탑재할 OS로 Linux 커널 및 Ubuntu 기반의 Jetson Linux가 포함되어 있고 CUDA, TensorRT, cuDNN, VPI 등 NVIDIA의 최신 AI 컴퓨팅 스택이 포함된다.

 

 

먼저 SDK Manager는 윈도우는 지원이 안되므로 Ubunt 18.04가 깔린 Host PC가 필요한데 VMware를 통해 설치해준다. 

 

설치시 여유있게 Memory는 8GB 이상 하드디스크는 128GB 이상으로 설정하고 Host 하드디스크도 여유가 있는지 확인한다.

 

 

(참고로 처음에 VirtualBox로 설치 시도를 했다가 실패했다. 설치과정에 USB 인터페이스가 붙었다 떨어졌다하는데 VirtualBox는 VMware처럼 USB 인터페이스를 한번 인식하면 계속 잡히게 설정하는 게 없고 수동으로 인식시켜줘야 해서 설치에 실패했었다.)

 

 

 

 

다음 Ubuntu 가상머신에서 구글에 SDK Manager를 검색하여 최신버전을 다운받은 뒤 설치한다.

 

설치 후 실행하면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는데 Micro B 타입 커넥터로 Jetson 보드랑 Host PC랑 연결해두면 Target Hadware가 인식된다.

 

 

 

terms and condition 동의를 누르고 다음 스텝으로넘어가면 한참동안 다운로드 받고 설치한다. 이때는 Jetson 보드를 꺼둬도 된다.

 

 

 

 

 

설치가 어느정도 진행되면 Jetson 보드에 flash를 하려고 한다는 창이 뜬다. Flash 방법은 Automatic setup과 Manual setup 두 가지가 있는데 최초 Flash에는 Manual Setup을 선택해야 한다.

 

다음 안내 문구대로 따라하면 하드웨어가 인식된다.

 

1. Manual Setup - 보드선택

2. 보드에서 파워 어댑터를 연결 해제해 전원을 끈다.

3. microSD Card가 장착되어있는지 확인한다.

4. J14헤더에서 핀 9번과 10번을 서로 연결하여 Force Recovery Mode로 들어간다.

5. Host 컴퓨터와 보드를 USB Micro-B 커넥터로 연결한다.

6. 보드 파워잭에 어댑터를 연결해 전원을 켠다.

7. 점퍼 핀은 제거한다.

8. OEM Configuration은 Pre-Config 대신 Runtime에 해줄거다.

9. Storage Device는 Default인 microSD Card를 선택했다.

 

이후 Flash 버튼을 누르면 또 한참 Flashing을 한다.

 

 

 

 

 

 

다음 Flash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SDK components를 설치할거라는 창이 뜬다. 이것도 안내 문구대로 따라하면 되는데 먼저 보드에서 시스템 초기 설정부터 해줘야 하기 때문에 일단 창을 끄고 가상머신을 종료한다.

 

 

 

 

 

 

이제 Jetson 보드에 USB 마우스, 키보드를 연결하고 HDMI로 모니터를 연결하고 전원을 켠 뒤 시스템 초기 설정을 해주면 된다.

 

 

 

설정이 끝나면 터미널에서 ifconfig를 치고 IP 주소를 확인해둔다.

 

 

 

그리고 다시 Host PC의 Ubuntu 가상머신으로 돌아와서 SDK Manager를 실행한 뒤 앞의 절차를 스킵하고 다시 이 창으로 온다. 

 

Jetson 보드에 Ping이 가는지 확인해보고 Connection은 이더넷으로 하고 IP 주소와 Jetson Ubuntu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Host PC에 프록시 서버 설정이 따로 되어있지 않으면 Do not set proxy를 선택하면 된다.

 

Install을 누르면 커넥션을 한 뒤 설치를시작한다.

 

 

 

 

설치 끝~

 

 

 

 

 

다음 명령어로 pip를 설치하고 pip로 jetson-stats을 설치한다. python3는3.8.10 버전이 깔려있더라.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pip
sudo pip3 install -U jetson-stats

 

 

 

 

jetson-stats은 리눅스의 top 명령어와 비슷하게 Jetson 모듈의 CPU, GPU, 메모리 사용량, 온도 등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이다.

 

리부트 후 jto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reboot
jtop

 

 

Jetpack 5.1.3이 깔려있고 INFO 화면에 들어가면 설치된 라이브러리와 버전을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