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IT 지식

스위치, 허브, 라우터, 공유기 차이점

by eteo 2023. 12. 16.

 

 

 

 

 

 

스위치

리소스 공유를 목적으로 여러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L2 계층에서 작동하며 MAC 주소를 사용해 물리적 포트에 연결된 기기들의 위치를 식별한다. 한 포트에서 들어온 패킷을 받아 헤더를 읽고, 패킷이 도달해야 하는 기기로 이어지는 특정 포트로만 패킷을 내보낸다.

 

장점은 목적지 기기로만 패킷을 전달하기 때문에 충돌이 적고 대역폭 활용이 효율적이다.

 

 

허브

 

허브 역시 리소스 공유를 목적으로 여러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허브가 스위치와 다른 점은 연결된 기기 중 하나에서 전송된 패킷을 허브에 연결된 모든 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한다. 

 

단점은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고 충돌 가능성이 높다.

 

 

 

❗ 허브는 허브에 연결된 모든 노드가 전체 패킷을 받을 수 있는 구조기 때문에 wireshark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 상 유통되는 모든 패킷을 간단히 캡쳐할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의 경우 목적지로만 패킷이 전달되기 때문에 해당 노드에 패킷 분석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스위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포트 미러링 기능을 사용해 패킷을 분석할 수 있다.

 

 

 

라우터

 

라우터는 L3 걔층에서 작동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IP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경로별로 전달하는 라우팅기능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인터넷과 로컬 네트워크 간, 또는 서로 다른 서브넷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공유기

 

공유기는 외부와의 통신에는 라우터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로컬 네트워크 내 기기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보통 공유기는 NAT 기능을 가진 소용량 라우터라고도 일컫는데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은 로컬 네트워크의 여러 기기들이 하나의 공인된 IP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하는 기능이다.

 

또한 공유기는 IP 주소 할당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내장하고 있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들에게 자동으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및 DNS 서버 주소 등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참고 :

https://www.itworld.co.kr/news/167585

 

네트워크 스위치와 허브, 라우터는 어떻게 다른 걸까

오늘날의 네트워크는 비즈니스를 지원하고 통신을 제공하고 엔터테인먼트를 전달하는 등 많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기본적

www.itworld.co.kr

https://rottk.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