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_t 는 부호 없는 정수로서 포인터나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이다. stddef.h 헤더 파일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플랫폼에 따라 그 정의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32비트 아키텍처에서는 unsigned int로 정의되고, 64비트 아키텍처에서는 unsigned long long 으로 정의된다.
sizeof() 함수를 사용해서 size_t 타입의 크기를 확인해보자.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빌드 구성을 x86으로 하면 4 byte, x64로 선택하면 8 byte로 확인된다.
아래 사이트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https://www.ibm.com/docs/ko/ibm-mq/7.5?topic=ssfksj-7-5-0-com-ibm-mq-ref-dev-doc-q104610--htm
표준 데이터 유형
32비트 UNIX, 64비트 UNIX, 64비트 Window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데이터에 대해 학습하십시오. 32비트 UNIX 애플리케이션 이 섹션은 비교를 위해 포함되고 Solaris를 기반으로 합니다. 기타 UNIX 플랫폼
www.ibm.com
Standard Types
Learn more about: Standard Types
learn.microsoft.com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언어 ] enum 의 활용 + 사용예제 (0) | 2022.04.26 |
---|---|
[ C언어 ] 프로젝트(삽질일기) : 도서 관리 프로그램 - (4) - 파일 입출력 - fopen / fopen_s, .bin 바이너리 파일 읽기 / 쓰기 (0) | 2022.04.25 |
[ C언어 ] 프로젝트(삽질일기) : 도서 관리 프로그램 - (2) - 동적 메모리 할당 (0) | 2022.04.22 |
[ C언어 ] 프로젝트(삽질일기) : 도서 관리 프로그램 - (3) - 동적 메모리 할당 - 구조체 배열 크기 동적 조절 ( 확대 / 축소 ), #ifdef DEBUG 사용 (0) | 2022.04.22 |
구조체의 크기 / 구조체 정렬 - 패딩비트를 #progma pack 사용으로 해결 (0) | 2022.04.20 |